전체메뉴

호국영웅

  1. 호국영웅
  2. 호국영웅

김 용 배장군1921. 4. 17 ~ 1951. 7. 2

한국전 첫 승리 ‘동락리 전투’ 주역

  • 머리 부상에도 전투 지휘··· 대원들 사기 진작
  • 한반도 북쪽 국경선에 가장 먼저 태극기를 꽂아···
1950년 9월 16일 우리 군은 경북 군위군 고로면 인각사 능선 주변에서 전투태세를 갖추고 있었다. 철모를 잠시 벗고 땀을 닦는 순간 적탄이 김용배 대대장의 머리 윗부분을 때리며 지나갔다. 머리에서 피가 주르르 흘러내렸다. 1㎝만 아래로 맞았다면 머리가 두 갈래로 터졌을 것이다. 그는 "괜찮아, 뼈엔 이상이 없는 것 같아"며 위생병에게 약을 듬뿍 바르게 했다. 붕대로 두둑이 감은 머리에는 철모가 들어가지 않았다. 그는 곧바로 산 위에서 전투를 지휘했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대원들은 "훌륭한 대대장을 따라 나라를 위해 이 한 목숨을 기꺼이 바치겠다" 고 입을 모았다.

제7사단 제5연대장 김용배 장군 아래 당시 16포대장이었던 최갑석 장군은 “김용배 대령, 그는 거인이었다. 그 육중한 몸집은 늘 보기만 해도 늠름하고 타는 듯한 눈빛이 인상적이었다. 그의 위풍당당한 모습에 용전과 무공담이 뒤따랐다”고 묘사했다.

김용배 장군은 경북 문경 출신이다. 김 장군은 한국전쟁이 발발한 뒤 북한군에 사정없이 밀렸던 한국군에 처음으로 승리의 깃발을 안겨다 준 주역이다. 제6사단 제7연대 1대대장이었던 그는 한강 방어선이 무너지고 충북까지 내려온 북한군을 1950년 7월 5일부터 10일까지 공세적 방어로 막아 세웠다. 충북 음성군의 동락리 전투라고 불린다. 이 전투에서 북한군의 군수참모를 비롯한 132명을 잡고 대전차포 등 각종 무기를 빼앗았다. 또 한국군이 진천과 음성, 충주로 이어지는 저지선을 구축하고 재정비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줬다. 당시 동락리 전투의 핵심 부대였던 제7연대는 정부로부터 대통령 부대표창과 함께 장병 모두 1계급 특진했다. 이때 김 장군도 소령에서 중령으로 진급했다. 그는 그 해 10월, 38선을 넘어 압록강변에 태극기를 꽂았다. 한반도의 북쪽 국경선에 가장 먼저 도달한 최선봉 부대의 명예를 안았다. 전투 때마다 큰 공을 세운 그는 1951년 7월, 제7사단 제5연대장으로 강원 양구 토평리 전투에서 중공군과 싸우다 전사했다.

김 장군은 문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야마구치 현립 농업학교에 다녔다. 한국으로 돌아와 1948년 국방경비사관학교 제5기로 입교해 졸업 뒤 소위로 임관했다. 정부는 1951년 9월 태극무공훈장과 1계급 특진을 추서했다. 매년 문경시 문경읍 용배공원에서는 김용배 장군 추모제가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