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의 호국인물 <해병대 김두찬 중장>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97회 작성일 05-12-05 11:36

본문

kim.Jer.jpg


전쟁기념관은 6.25전쟁 당시 서해 도서작전의 주역인

김두찬 중장이 2015년 ‘12월의 호국인물’로 선정됐다.


김두찬 장은 “6.25전쟁이 발발하자 해병대 지휘관으로서

영덕, 영월, 홍천지구 전투 등에서 전과를 올렸으며,

특히 중공군의 개입 후 열세로 돌아선 전황을 타개하는데

큰 역할을 했던 서해 도서작전을 전두 지휘했다.”

서해 도서작전은 서해 석도에 대대본부를 두고 백령도,

연평도에 각각 상륙해 경비 및 기습상륙 등을 전개하는 작전이

었다.

1919년 평안남도 강동에서 태어난 김 중장은 숭실중학교를

거쳐 일본 명치대학 법학부에 진학했다.

하지만 1936년 신사참배를 거부해 일본경찰에 체포돼 옥고를

치렀다. 1943년에는 일본군에 중요한 역할을 하던

겸이포제련소의 용광로 폭파계획을 세우다

일본경찰에 체포돼 옥고를 치렀다.

김 중장은 광복 후 육군사관학교 1기(소위)로 입교했고 도중에

해군으로 전입했다. 이후 6.25전쟁 당시 서해 도서작전에서

큰 활약을 펼긴 김 중장은 이어진 동해 원산만 전면의 9개

도서를 점령해 확보함으로써 동해안, 서해안에서 적의

보급물자와 병력이동을 완벽히 봉쇄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특히 교육단장, 사단장 등을 두루 역임하며 산악훈련장 개설,

정백서 편찬 등 해병대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이후 해병 1사단장, 제5대 해병대사령관(중장)을 거쳤다.

전역 후에는 대한조선공사 사장, 광복회 고문 등을 지냈다.

정부는 그의 전공을 기려 금성을지훈장과 금성충무훈장 등을

수여했다. 1956년 미 정부는 동성훈장을 수여했다.